이 자료는 다음을 설명합니다:
파이로토시스란 무엇인가?
파이로토시스는 세포 부종, 세포막에 기공 형성, 막 파열 및 이후 IL-1β 및 IL-18과 같은 염증 유발성 세포 내 내용물의 방출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유발성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형태입니다 (Vande Walle, 2016; Fang, 2020; Tan, 2021; Rao, 2022).
참조: IL-1β(인터루킨-1 베타)란 무엇인가? & 인터루킨-1 베타(IL-1β)와 신경퇴행성 질환
이 과정은 선천성 면역 체계의 일부로, 병원체를 세포외 공간으로 배출하여 면역 반응의 표적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체에 대한 1차 방어 기제 역할을 합니다 (Vande Walle, 2016). 그러나 과도하게 활성화될 경우, 파이로토시스는 광범위한 세포 사멸, 조직 손상 및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다양한 염증성 및 자가면역 질환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Shi, 2017; Rao, 2022; Song, 2022).
"파이로토시스(pyroptosis)"라는 용어는 2001년 처음 소개되었으며, 그리스어 "파이로(pyro)"(불 또는 열을 의미)와 "프토시스(ptosis)"(떨어짐을 의미)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용어는 이 세포 사멸 경로의 염증 촉진적 특성을 반영합니다. 특히 파이로토시스는 아포토시스나 네크로토시스 같은 다른 형태의 세포 사멸과 구별됩니다(Fang, 2020; Y. Liu, 2024):
- 아포토시스는 주로 조직 발달과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며, 노화되거나 경미하게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는 데도 기여한다. 아포토시스 소체를 제거함으로써 염증 반응의 유발을 방지하는 깨끗한 과정을 보장한다(Bertheloot, 2021).
- 네크로토시스는 파이로토시스와 유사하게 염증 반응을 유발하지만, 다른 분자(특히 RIPK1, RIPK3, MLKL)에 의해 실행되며, 아포토시스를 억제한 병원체에 대한 백업 메커니즘 역할을 합니다(Bertheloot, 2021).
파이로토시스는 일반적으로 가스더민(GSDM: A, B, C, D, E 및 DFNB59 또는 PVJK)을 절단하는 효소인 다양한 카스파제의 활성화에 의해 유발됩니다. 이 중 가스더민 D는 광범위한 면역 세포, 장기 및 조직에 존재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습니다. GSDM이 절단되면 N-말단 단편과 C-말단 단편으로 분리됩니다. N-말단 단편은 이후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올리고머화되어 큰 기공을 생성합니다. 이 기공은 물의 유입과 이온 불균형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세포 팽창을 일으키고 삼투성 용해로 이어집니다(Bergsbaken, 2009; Fang, 2020; Yu, 2021).
파이로토시스 과정에는 네 가지 주요 신호 전달 경로가 관여합니다(Yu, 2021):
- 정형적 인플라마좀 경로
- 활성화: 이 경로는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PAMPs) 및 손상 관련 분자 패턴(DAMPs)에 의해 유발되어 NLRP1, NLRP3, NLRC4 및 AIM2를 포함한 인플람소좀 구성 요소의 활성화를 초래합니다.
- 활성화 후, 인플람소좀은 카스파제-1을 활성화합니다.
- 카스파제-1은 GSDMD를 절단하여 파이로토시스를 시작하고,프로-IL-1β 및 프로-IL-18을 활성 형태로 절단합니다 (Bertheloot, 2021; Tan, 2021; Song, 2022).
- 비정형 경로
- 활성화: 이 경로는 주로 박테리아의 세포질 지질다당류(LPS)에 의해 시작되며, 이는 특정 거대 분자 신호 복합체(인간의 경우 카스파제 4/5, 쥐의 경우 카스파제 11)를 활성화합니다.
- 카스파제 4/5/11은 GSDMD를 절단하여 카스파제-1과 독립적으로 파이로토시스를 유도합니다.
- GSDMD와 P2X7에 의해 세포막 기공이 형성됩니다.
- 칼륨 이온의 유출은 NLRP3 인플라마좀의 조립에 더욱 기여합니다 (Fang, 2020; Yu, 2021; Song, 2022).
- 카스파제 3/8 경로
- 이 경로는 전통적으로 세포 사멸과 관련된 카스파제, 특히 카스파제-3 및 카스파제-8과 관련이 있습니다
- 카스파제 3: 화학요법 및 면역요법(예: CAR T 세포)에 의해 활성화되어 궁극적으로 GSDME를 절단할 수 있습니다.
- 카스파제 8: 예르시니아균이나 아스페르길루스균과 같은 특정 감염에 반응하여 활성화되어 GSDMD를 절단합니다. 또한 암세포의 저산소 상태에서 TNF-α에 의해 활성화되는 대체 경로가 있으며 , 이는 GSDMC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Yu, 2021; Chai, 2023).
- 이 경로는 전통적으로 세포 사멸과 관련된 카스파제, 특히 카스파제-3 및 카스파제-8과 관련이 있습니다

피로토시스를 촉진하는 주요 신호 전달 경로.
피로토시스가 질병과 관련이 있는가?
파이로토시스는 세포를 파열시켜 염증 유발 분자를 방출함으로써 신경염증과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하며, 중추신경계(CNS) 내 유해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 과정은 뇌 내 다양한 세포 유형에 영향을 미치며, 각 세포는 고유한 방식으로 질병 병리에 기여합니다:
- 미세아교세포는 중추신경계의 핵심 면역세포로 신경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로토시스를 겪으면 염증성 매개체를 방출하는 염증 촉진 상태로 진입하여,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질병 진행에 기여하는 변형 단백질과 같은 유해 물질 제거 능력을 저하시킵니다(Wu, 2022; Oladapo, 2024).
- 성상세포의 파이로토시스는 세포 부종, 막 기공 형성 및 신경독소 방출을 유발합니다. 이 과정은 성상세포의 지지 기능을 방해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소포체 스트레스를 초래하며, 이는 다시 신경염증 환경을 악화시킵니다(Oladapo, 2024).
- 뉴런 역시 파이로토시스를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감염에서 관찰되는 뉴런 손실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Wu, 2022).
신경계 질환
신경계 질환에서 피로토시스의 구체적 관여:
- 알츠하이머병(AD)
- AD에서는 아밀로이드 베타와 신경섬유다발의 응집체가 미세아교세포를 자극하여 NLRP3 인플라마좀을 활성화시키고, GSDMD를 통해 파이로토시스를 시작합니다. 이 과정은 신경 염증을 촉진하고 미세 아교세포가 Aβ 플라크를 제거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방출하여 병리의 악순환을 지속시킵니다 (Wu, 2022; Y. Liu, 2024; Oladapo, 2024).
- AD의 신경 염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당사의 리소스: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미세 아교 세포, 성상 세포 및 타우를 참조하십시오.
- 파킨슨병(PD)
- 잘못 접힌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은 미세아교세포와 뉴런 모두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활성화는 GSDMD의 절단을 유발하여 세포막에 기공을 형성하고, 결국 파이로토시스를 초래합니다. 결과적으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방출되어 신경염증과 도파민성 뉴런의 진행성 손실을 지속시킵니다 (Wu, 2022; Liang, 2024; Oladapo, 2024).
- 파킨슨병의 신경 염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당사의 자료인 파킨슨병의 미세 아교 세포, 성상 세포 및 α-시누클레인을 참조하십시오.
- 다발성 경화증(MS)
- 증거에 따르면, MS 병변 내 미세아교세포와 올리고도교세포 모두에서 카스파제-1과 GSDMD에 의해 촉진되는 피로토시스가 발생합니다. 이는 염증과 탈수초화에 기여합니다(Y. Liu, 2024).
- 허혈성 뇌졸중
- 중추신경계(CNS)에서의 피로토시스는 뇌졸중 후 이차 손상의 주요 원인이다. 메틸트랜스퍼레이즈-유사 14(METTL14)는 NLRP3 인플라마좀을 활성화하여 피로토시스를 촉진한다. 이로 인한 신경염증은 초기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회복 지연과 연관되어 있다(Wu, 2022; Y. Liu, 2024).
암
피로토시스는 암에서 복잡한 이중 역할을 수행하며, 특정 암 유형과 분자적 맥락에 따라 종양 촉진제이자 억제제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 흑색종에서 NLRP1 및 NLRP3 인플라마좀은 골수유래억제세포(MDSC)를 활성화하여 종양 성장 촉진 및 면역억제 환경 조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항암제를 통한 GSDME 의존적 파이로토시스 유도는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Huang, 2022; Z. Liu, 2024).
- 유방암에서는 GSDMB 및 GSDMC의 과발현이 종양 성장, 전이 및 불량한 예후와 연관됩니다. 그러나 GSDMD 조절 피로토시스 감소는 질병 진행과 관련이 있습니다(Huang, 2022; Z. Liu, 2024).
- 대장암에서는 AIM2 및 카스파제-1 결핍이 불량한 예후와 연관되어 종양 억제 역할을 시사한다. 그러나 NLRP3 활성화는 전이를 촉진할 수 있으며, 높은 GSDMD 수준은 불량한 예후와 상관관계가 있다(Huang, 2022; Z. Liu, 2024).
염증성 질환
피로토시스가 과도한 사이토카인 방출과 염증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관여합니다:
- 자가염증성 질환 (Vande Walle, 2016; Song, 2022; Chai, 2023)
- 크라이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CAPS)
- 가족성 지중해열(FMF)
- 피린 관련 자가염증성 호중구성 피부염 (PAAND)
- 유아 장염을 동반한 자가염증 (AIFEC)
- 무균성 염증성 질환 (Wu, 2022; Y. Liu, 2024)
-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 간 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증
- 폐 질환: 천식 및 규폐증
피로토시스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적 적용 가능성이 있을까요?
파이로토시스를 표적으로 하는 것은 암, 염증성 질환, 신경계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유망한 치료 전략을 제시합니다. 치료 접근법은 질병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파이로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은 암 치료에 유익한 반면, 염증성 및 자가면역 질환의 경우 이를 억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가스더민 관련 치료법:
- 억제
- 이러한 약물은 GSDMD-N-말단의 올리고머화 및 기공 형성을 방지하여 병리학적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Y. Liu, 2024; Oladapo, 2024; Zhu, 2024)
- 디메틸 푸마레이트: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로 승인되었습니다. 여러 동물 모델에서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 및 FMF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C202-2729: 이 화합물은 동물 모델에서 EAE 및 내독소 쇼크의 염증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디설피람 및 네크로설포나미드: 이 약물은 알츠하이머병, 패혈증, COVID-19, 죽상경화증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여러 동물 모델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이러한 약물은 GSDMD-N-말단의 올리고머화 및 기공 형성을 방지하여 병리학적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Y. Liu, 2024; Oladapo, 2024; Zhu, 2024)
-
- 카스파제-1 억제제는 GSDMD의 절단과 그에 따른 파이로토시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Wu, 2022; Oladapo, 2024)
- VX-765는 EAE 동물 모델에서 신경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Ac-YVAD-CMK 또한 전임상 연구에 사용되었습니다.
- 카스파제-1 억제제는 GSDMD의 절단과 그에 따른 파이로토시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Wu, 2022; Oladapo, 2024)
-
- LDC7559 치료는 연구 모델에서 지주막하 출혈 후 신경 세포 사멸과 신경 염증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행동 및 기능 회복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ai, 2023).
- 활성화: 항종양 면역 촉진 (구체적 예시는 아래 표 참조)
- GSDME 작용제: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과 같은 항암제는 카스파제-3를 활성화하고 GSDME를 절단하여 유방암 및 폐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세포에서 파이로토시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Fu, 2020; Liao, 2022; Magnani, 2022; Privitera, 2023; Y. Liu, 2024).
- GSDMD 작용제: 소라페닙 및 시스플라틴과 같은 약물은 카스파제-1을 활성화하고 GSDMD를 절단하여 간세포암종 및 삼중 음성 유방암을 포함한 특정 암에서 파이로토시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Liao, 2022; Y. Liu, 2024).
- 나노 입자에 접합된 GSDMA3는 세포 독성 T 세포 및 T 헬퍼 세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 (Yu, 2021).
인플라마좀 억제제: NLRP3 인플라마좀은 피로토시스의 상류 활성화 인자이며, 약물 개발의 또 다른 초점이다:
- 예를 들어, MCC950 유도체는 동물 모델에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 활용되고 있습니다(Wu, 2022; Y. Liu, 2024). 인플라마좀의 치료 표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당사 자료를 참조하십시오: NLRP3 인플라마좀과 신경퇴행성 질환 & 인플라마좀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치료법은 신경퇴행성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유망하지만, 가스더민 관련 치료법에는 몇 가지 과제가 존재합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더민의 기능은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식세포에서는 염증을 촉진하는 반면, 장 점막 세포에서는 항상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더민 관련 치료법 사용은 특이성 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피로토시스를 유발하여 건강한 세포에 독성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이는 전신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표적 | 약물 또는 화합물 | 암 유형 |
GSDME/카스파제-3 | 파클리탁셀 및 시스플라틴 |
폐암 |
로보플라틴 |
자궁 경부암 | |
독소루비신 |
유방암 | |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 (DHA) |
유방암 | |
폴로 유사 키나아제 1 (PLK1) 억제제 |
식도 편평세포암 | |
테트라비소산화비소 |
삼중 음성 유방암 | |
GSDMD/카스파제-1 | 소라페닙 |
간세포암 |
시스플라틴 |
삼중 음성 유방암 | |
FL118 |
대장암 | |
알파인 소나무 플라본 (AIF) |
간세포암 | |
메트포르민 |
간세포암 | |
VB12-세리신-PBLG-IR780 나노 입자 |
위암 | |
칼슘 킬레이트제를 포함한 나노 입자 |
유방암, 흑색종, 난소암 |
저희 팀은 파이로토시스 관련 문의 사항에 기꺼이 답변해 드리며, 치료 효능 연구에 활용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도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관련 콘텐츠
신경염증에 관한 최신 정보 및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치료제 평가와 관련된 모범 사례.
IL-1β란 무엇인가요?
IL-1β의 개요, 전신 및 신경계 질환에서의 염증 촉진 역할, 그리고 IL-1β 억제를 포함한 치료 전략.
인터루킨-1 베타 (IL-1β)와 신경퇴행성 질환
IL-1베타가 알츠하이머 병(AD), 파킨슨 병(PD), 및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을 포함한 신경퇴행성 질환에서의 역할.
염증체(Inflammasome)란 무엇인가요?
염증체(inflammasome)의 개요: 작용 메커니즘, 질병에서의 역할, 및 약물 개발을 위한 표적화.
NLRP3란 무엇인가요?
NLRP3 및 NLRP3 염증체 활성화 유발 요인, 질환 연관성, 및 치료 표적 전략에 대한 개요.
NLRP3 인플라마좀과 신경퇴행성 질환
NLRP3 인플라마솜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ALS를 포함한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의 그 역할에 대한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