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odegeneration & Neuroinflammation in the AAV-Synuclein Mouse Model
α-시누클레인 프리폼드 피브릴(PFF) 모델
파킨슨병의 특징인 알파-시누클레인의 비정상적인 접힘 현상은 알파-시누클레인 프리폼드 피브릴(PFF)을 주입함으로써 동물 뇌에서 모사할 수 있습니다. 이 "PFF 시드 및 확산 모델"은 인간 알파-시누클레인을 과발현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 또는 야생형 마우스 또는 쥐에서 유도될 수 있습니다.
이 재현성이 높은 동물 모델은 세포체와 신경돌기에 있는 α-시누클레인 응집체, 신경변성(혈액과 뇌척수액의 신경원섬유 경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생체 내 MRI 기반 뇌 위축 측정으로도 측정 가능), 미세아교증, 성상교증, 도파민성 신경절절제 등 인간 파킨슨병의 여러 주요 특징을 재현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운동 기능의 결함과 수면 구조의 변화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AAV A53T α-시누클레인 마우스 모델
성인 설치류 뇌에서 알파-시누클레인 병리 생성은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AV) 벡터의 주입을 통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야생형 (C57BL/6) 마우스는 A53T 돌연변이 인간 알파-시누클레인을 과발현하는 AAV 벡터를 흑질 소구 부근에 정위 주입합니다.
이 견고한 시누클레인 모델은 병리학적으로 시냅스체와 신경돌기, 신경염증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와 반응성 성상교세포 포함), 신경퇴행, 도파민성 신경절의 소실을 보여줍니다. 이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일방적인 도파민성 신경세포 소실로 인해 회전판 테스트, 실린더 테스트, 꼬리 매달기 스윙 테스트, 뒷다리 움켜쥐기 테스트의 변화 등 상당한 운동 장애가 관찰됩니다.
파킨슨병 모델의 인간 질병으로의 번역 가능성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
잘못 접힌 α-시누클레인의 응집체는 인간 파킨슨병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입니다. 루이 소체와 루이 신경돌기는 흑질 소핵과 다른 뇌 영역의 도파민성 뉴런에서 관찰됩니다. 잘못 접힌 α-시누클레인의 병리학은 또한 시공간적 패턴을 따릅니다(Braak, 2003). 우리는 AAV 유도 모델과 미리 형성된 피브릴(PFF) 유도 모델 모두에서 신경 세포체와 신경 세포체 내의 α-시누클레인의 높은 수준의 인산화 상태를 관찰했습니다. 또한, PFF 모델에서 강력한 시드링과 확산이 이루어졌습니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와 반응성 아스트로사이트
신경염증은 파킨슨병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입니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와 반응성 성상교세포는 병인의 주요 역할을 합니다(Kam, 2020; Chen, 2023). 우리는 AAV와 PFF를 이용한 마우스 모델에서 뚜렷한 시공간적 패턴의 신경염증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우리가 개발한 컴퓨터 비전과 머신 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러한 모델에서 미세아교세포와 성상교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도파민 신경세포 손실 및 운동 기능 장애
추체외로 운동증상은 파킨슨병의 주요 임상 특징입니다. 운동 기능 장애는 흑질 소구체(SNc)의 도파민성 뉴런의 소실과 선조체의 탈신경(예: 꼬리핵과 선조체)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SNc를 알파-시누클레인 과발현 AAV 또는 알파-시누클레인 PFF로 표적화함으로써, 우리는 도파민성 뉴런의 신경 퇴행과 도파민성 말단 손실을 모델에서 확인했습니다. 이 마우스는 꼬리 매달기 스윙 테스트, 실린더 테스트, 뒷다리 움켜쥐기 테스트, 로타로드 테스트 등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운동 기능의 변화를 보였습니다.

수면 변화
수면 장애는 파킨슨병의 비운동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이며, 환자의 최대 85%가 이 증상을 경험합니다(Asadpoordezaki, 2025). 비침습적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쥐의 수면 평가를 수행한 결과, 인간 A53T 돌연변이 α-시누클레인을 과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의 전후각핵(AON)에 α-시누클레인 PFF를 주입했을 때 수면-각성 구조(예: 수면 시간 , 수면 시간)의 변화가 재현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지역성 뇌 위축
뇌 영상 바이오마커는 파킨슨병을 포함한 신경 퇴행성 질환의 임상 시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MRI에서 도출된 국소 부피와 피질 두께 측정은 파킨슨병의 뇌 위축에 매우 민감합니다. 파킨슨병에서 MRI 기반 뇌 위축의 진행은 α-시누클레인(α-synuclein)의 프리온 유사 전파 가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Tremblay, 2021; Abdelgawad, 2023). 고해상도 전뇌 MRI 획득과 완전 자동화된 이미지 처리 및 분석을 통해, 우리는 PFF 기반과 AAV 기반의 파킨슨병 모델 모두에서 재현 가능한 뇌의 국소 위축을 보여줌으로써, 신경 퇴화의 확실한 생체 내 측정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뇌척수액과 혈장 내 신경원섬유소 증가
신경필라멘트 경쇄는 파킨슨병 환자의 뇌척수액과 혈장에서 증가합니다(Bäckström, 2020; Urso, 2023; Pedersen, 2024). 신경필라멘트 경쇄 측정은 파킨슨병 임상 시험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신경필라멘트 경쇄 수치가 상승한 것은 여러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우리는 M83+/- 형질전환 생쥐의 전후각핵(AON) 또는 전뇌내 신경다발(MFB)에 인간 α-시누클레인 PFF를 주입한 생쥐 모델에서 신경필라멘트 라이트의 혈장 및 뇌척수액 수준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 특징
아래의 대화형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생체 내 데이터와 전체 다중 면역형광 조직 단면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포함하여 AAV-시누클레인 마우스 모델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왼쪽 패널을 사용하여 이 "이미지 스토리" 를 간단하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왼쪽 마우스 버튼을 사용하여 고해상도 현미경 이미지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트랙패드(위/아래) 또는 왼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 및 - 버튼을 사용하여 확대 및 축소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제어판에서 채널 및 세분화에 대한 이미지 설정을 토글(켜기/끄기), 색상 변경 및 조정할 수 있습니다.
최상의 상호작용 경험을 위해 전체 화면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사의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 특성화, 검증된 측정 방법, 전임상 신경과학 CRO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관련 콘텐츠
파킨슨병에 대한 최신 정보와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치료제 평가와 관련된 모범 사례.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AAV α-시누클레인 모델
질병 조절 치료제의 전임상 연구에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 및 랫드 모델에서 아데노-연관 바이러스(AAV)에 의한 α-시누클레인 발현에 대한 개요.
파킨슨병 모델의 신경원섬유소 가벼운 사슬
신경필라멘트 경쇄(NfL; NF-L) 수치가 파킨슨병 마우스 및 랫트 모델에서 혈액(혈장; 혈청) 및 뇌척수액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
미토파지(Mitophagy)와 파킨슨병
파킨슨병에서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어떻게 신경 퇴행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요.
자가포식, 파킨슨병, 도파민성 신경세포
파킨슨병에서 손상된 자가포식 작용이 어떻게 도파민성 뉴런의 병리학적 변화와 신경 퇴화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개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파킨슨병
파킨슨병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신경 퇴행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한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