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상 웹사이트임상 웹사이트

사전 형성된 섬유소 – 세포 및 동물 모델 가이드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질병 수정 치료법의 전임상 시험을 위한사전 형성된 섬유소 유도 세포 동물모델 개요

최종 업데이트: 2025년 11월 26일
저자: Dika Ojiakor, Ph.D., Alexa Brown, Ph.D., Barry Bedell, M.D., Ph.D.

사전 형성된 섬유소란 무엇인가?

단백질 응집은 알츠하이머병(AD), 파킨슨병(PD), 전두측두엽치매(FTD),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진행성 초핵성 마비(PSP), 피질기저부변성증, 다계통위축증(MSA), 헌팅턴병(HD)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핵심 병리학적 특징을 나타냅니다 .

병리학적 조건 하에서 타우, 아밀로이드 베타, 알파-시누클레인, TDP-43, 헌팅틴과 같은 단백질들은 본래 상태에서 잘못 접혀 독성 올리고머 및 섬유 구조로 조립됩니다 (Wilson, 2023). 이러한 잘못된 접힘은 핵형 중합 또는 "시딩" 과정을 통해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단량체가 단계적으로 추가되면서 응집체가 성장합니다.

일단 클러스터가 소규모 용해성 올리고머에서 고도로 정렬된 β-시트 풍부 섬유소 응집체에 이르는 임계 크기를 초과하면, 추가 단량체 부착이 에너지적으로 유리해집니다 (Koga, 2021). 이 과정은 다중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영향을 받은 뉴런신경교세포 내 병리학적 내포체의 주요 구성 요소인 독성 응집체 형성을 촉진합니다 .

이러한 집합체 중 섬유 형태는 단백질 응집의 특히 역동적이고 병리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섬유는 용해성 단량체 단백질을 모집하여 급속한 신장을 겪으며, 이는 추가 응집을 촉진하는 템플릿 역할을 한다 (Powers, 2006). 중요한 점은 성숙한 섬유가 정적인 최종 산물이 아니라, 수신 세포 내에서 내인성 단백질의 신규 응집을 유도할 수 있는 "종자" 역할을 유지하는 더 짧은 섬유 조각으로 자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Powers, 2007). 이러한 종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세포 간에 전파될 수 있다:   

  • 엑소사이토시스 
  • 내포작용
  • 터널링 나노튜브
  • 시냅스 전달

이러한 자가 전파성 프리온 유사 행동은 현재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상호 연결된 뇌 영역 전반에 걸쳐 병리가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근본적인 통합 메커니즘으로 인식되고 있다 (Yamaguchi, 2017; Gibbons, 2019).

사전 형성된 섬유소(PFF)는 시험관 내에서 생성된 섬유소 집합체로,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질병 관련 응집체의 구조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습니다. PFF는 강력한 시드 활성을 지녀 생물학적 시스템에 도입될 때 내인성 용해성 단백질을 모집하고 세포 내 응집체 형성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Uemura, 2025).

결과적으로, PFF 기반 모델은 질병 관련 단백질의 변형, 시딩, 응집, 전파는 물론 하류 신경독성과 신경염증을 포함하여 인간 신경퇴행성 병리의 핵심 측면을 재현합니다 (Majid, 2023).

신경퇴행을 촉진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치료적 개입의 효능을 평가하며, 약물 후보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생리학적으로 관련성 있는 질병 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유전자 과발현, 화학적 유도 또는 물리적 손상에 의존하는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PFF 유도 모델은 다음과 같은 뚜렷한 장점을 제공합니다:

  • 유전자 변형 동물 모델에 비해 신경퇴행성 과정의 더 빠른 유도 (유전자 변형 모델은 긴 성숙 기간 필요).
  • 인간 질환에서 관찰되는 자연 발생적 시드 형성 및 확산 과정을 보다 충실히 재현합니다. 
  • 시간적·공간적 특성이 정의된 병리 현상의 제어된 유도. 
  • 유전자 변형 동물의 생성 및 사육에 비해 확립 및 유지 비용이 적게 듭니다.
  • PFF 형성을 표준화하고 검증할 수 있음(예: 티오플라빈 T 분석, 투과전자현미경, 원자력현미경 등을 통해), 일관된 품질과 구조 보장.
  • PFF 유도는 유전자 변형 또는 독소 유도 모델과 결합하여 질병의 분자적 및 행동적 측면을 더 잘 재현할 수 있습니다.
  • 배양된 뉴런 및 iPSC 유래 세포부터 동물 연구에 이르기까지, 시험관 내생체 내 시스템 모두에서 유용합니다.

따라서 PFF 기반 모델링은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단백질 응집의 시작, 전파 및 결과를 연구하기 위한 강력하고 혁신적인 전략을 나타냅니다 (Stroo, 2017).

특징

타우 PFF

아밀로이드-β PFF

알파-시누클레인 PFF

TDP-43 PFF

헌팅틴 PFFs

단백질 유형

미세소관 관련 단백질소형 펩타이드 (Aβ 40–42 aa) 시냅스 전 신경 세포 단백질 RNA 결합 단백질 폴리글루타민 확장 단백질

 

질병 모델링

 

알츠하이머병, 전두측두엽치매, 기타 타우병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계통 위축증, 루이체 치매 ALS 및 FTD

헌팅턴병

 

단백질
의 이형/돌연변이

 

다양한 이소형(3R/4R), 돌연변이(P301S, P301L) 주로 Aβ40/42 펩타이드 야생형 및 가족성 돌연변이체(A53T) 야생형 및 병리학적 돌연변이체 엑손 1의 폴리글루타민(PolyQ) 확장

 

섬유 형태

 

쌍나선형 섬유(PHFs), 직선 섬유 아밀로이드 플라크/섬유 루이체 유사 섬유 세포질 내포물 핵 및 세포질 내포체 섬유

 

시딩 효율

 

중간, 균주 의존적 높음, 빠른 Aβ 응집 높음, 크기 의존적 중간에서 낮음 변동성 있음, 폴리글루타민(polyQ) 길이에 따라 다름

 

세포 표적

 

뉴런, 축삭 세포외 플라크, 신경 시냅스, 신경세포 신경 시냅스, 신경세포 신경세포 및 신경교세포 뉴런, 핵 및 세포질 구획

이 표는 단백질 유형, 모델링된 질환, 단백질 이소형/돌연변이, 섬유 형태, 시딩 효율성, 세포 표적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는 특징들을 비교합니다.

PFF에 의한 시딩 확산연구에 사용되는 세포 모델은 무엇인가 ?

PFF 세포 모델은 일반적으로 PFF를 이용해 내인성 단백질의 응집을 유도하는 체외 세포 시스템을 지칭하며, 이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리를 모사합니다 (Volpicelli-Daley, 2014). 세포 모델에서 PFF의 형성 및 전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발생합니다:

  1. 재조합 단량체가 먼저 병리학적 내포체에서 발견되는 것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섬유소로 조립됩니다. 
  2. 그런 다음 PFF를 초음파 처리하여 더 짧은 단편으로 분해한 후 배양된 세포에 적용합니다. 
  3. 배양된 뉴런 및 신경교세포 내부에서 PFF는 세포의 내인성 응집 단백질의 응집을 시드합니다. 
  4. PFF와 모방하려는 병리에 따라, 이 응집은 번역 후 변형(예: 인산화)과 질병 상태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병리적 내포체 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Stroo, 2017).
신경퇴행성 질환에서의 단백질 응집 메커니즘

신경퇴행성질환에서의 단백질 응집 메커니즘.

예를 들어 파킨슨병에서는 PFF 세포 모델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알파-시누클레인의 과발현에 의존하지 않고 생리적 단백질 수준에서 응집을 시드하기 때문에 인간 상태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Benskey, 2016; Uemura, 2025).

이러한 모델을 통해 알파-시누클레인 응집, 전파 및 관련 세포 기능 장애의 기전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포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SH-SY5Y 인간 신경모세포종 세포 
  • 설치류에서 분리된 1차 신경세포 
  • 인간 iPSC 유래 뉴런

이러한 모델에서 형성된 병리학적 응집체는 안정적이며 세포 배양을 통해 전파될 수 있어 시누클레인병의 주요 특징을 재현합니다.

현재 마우스 또는 인간 단백질에서 유래한 α-시누클레인 PFF(야생형 및 돌연변이형 모두 포함)는 다양한 완충 조건 하에서 생성됩니다. 인간 α-시누클레인 섬유는 또한 "시딩" 반응을 통해 생산될 수 있는데, 이 반응에서는 병리학적 구조의 증폭을 촉진하기 위해 파킨슨병 환자 샘플이 첨가됩니다 (Wu, 2024). 이러한 모델들은 세포 내 흡수 경로, 염증 반응을 조사하고 응집 억제제를 테스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또한 파킨슨병 메커니즘 연구와 글로벌 신약 개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세포 및 동물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PFF 제조 과정이나 초음파 처리 매개변수의 변동성은 섬유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의 한계점이다. 이러한 잠재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PFF 기반 세포 모델은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에서 알파-시누클레인의 변형 및 그 세포적 결과 연구를 위한 강력한 도구로 남아있다 (Dovonou, 2023).

PFF에 의한 시딩 및 확산을 평가하기 위해, 질병 관련 세포 모델에서 병리학적 섬유 전파의 메커니즘, 동역학 및 조절 인자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측정법이 사용됩니다.

실험적 판독값

설명

주요 검출 방법

세포 내 응집체 형성

신규 형성된 세포 내 응집체(예: 인산화 타우, pSer129-α-시누클레인) 검출

면역조직화학(IHC), 면역형광(IF), ELISA 기반 응집 유도 발광 분석법

섬유소 흡수 및 내부화

PFF의 내재화 및 초기 시딩 현상 모니터링

IF 현미경, 생화학적 분획, 웨스턴 블롯

세포 생존율

PFF 처리가 세포 건강에 미치는 세포 독성 효과를 평가합니다.

MTT 분석, LDH 방출 분석, 생사 세포 염색

시딩 능력

처리된 세포의 용해물 또는 배지가 단량체 기질에서 섬유소 형성을 유도하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티오플라빈 T (ThT) 형광 분석, 시딩 ELISA, 필터 트랩 분석

세포 간 확산

기증자 세포에서 미감염 세포로 응집체가 전파되는 것을 평가합니다.

공동 배양 분석, 배양액 전달, 형광 현미경

병리학적 공위화

응집체와 자가포식, 유비퀴틴화 또는 스트레스 경로의 마커 간 중첩을 조사합니다.

면역형광 공동염색, 공초점 현미경, 웨스턴 블롯

공초점 이미징

세포 또는 배양 내 응집체 형성 및 공간적 분포를 정량화합니다.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

이 표는 PFF에 의해 유발된 단백질 응집, 전파 및 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판독값을 비교한 것으로, 세포 내 응집체 형성, 섬유소 흡수 및 섬유화, 세포 생존력, 시딩 능력, 세포 간 확산, 병리학적 공존 및 공초점 이미징을 포함합니다.

PFF에 의한 시딩 확산을모델링하기 위해 어떤 동물 모델이 사용되나요 ?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PFF는 질병에서 발생하는 단백질 변형, 시딩 및 확산의 자연적 과정을 모방함으로써 병리학적 변화를 보다 생리학적으로 정확하게 재현하는 모델을 생성하는 데 흔히 사용됩니다 (Gibbons, 2019).

타우 또는 알파-시누클레인과 같은 병원성 단백질로부터 시험관 내에서생성된 PFF는 생체 내에서 다음과 같은 신경퇴화의 핵심 특징을 재현합니다 :

  • 뇌 내 병인성 단백질 응집체의 더 정확한 시딩 및 확산.
  • 기존의 유전자 변형 또는 독소 유도 동물 모델에 비해 더 빠르고 재현성 높은 분자 병리 유발.
  • 병리 발생의 시기, 위치 및 수준에 대한 정밀한 제어.
  • 다양한 단백질병에 적용 가능한 다목적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접근법.
  • 생체 내에서 응집, 확산 또는 하류 신경퇴화를 억제하는 치료 후보물질 시험을 위한 강력한 플랫폼 제공.

전반적으로, 동물 모델에서 PFF를 사용하는 것은 시간적 및 공간적 제어를 통해 신경퇴행성 질환의 분자적 및 병리학적 측면을 충실히 재현하는 강력하고 유연한 접근법을 제공하여, 기전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을 용이하게 합니다.

PFF 유발 시딩 및 확산 연구에 사용되는 동물 모델은 주로 설치류, 특히 생쥐와 쥐를 포함하며, 주요 모델 및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 단백질 과발현 트랜스제닉 마우스: 

야생형(비전유전자형) 설치류: 

야생형 마우스 또는 랫트에도 재조합 PFF(알파-시누클레인, 타우, 아밀로이드-베타)를 주입하여 트랜스제인 과발현 없이 내인성 단백질 응집 및 병리를 유도할 수있습니다. 이 모델은 시딩 및 전파 과정에서 정상 생리적 단백질의 역할을 연구할 수 있게 합니다.

바이오스펙티브에서는 초음파 처리된 재조합 인간 타우 PFF 또는 뇌 추출물을 PS19 마우스의 해마 및 상부 피질에 정위적 전달함으로써, 주입이 없는 PS19 마우스에서 관찰되는 자연적 노화 의존적 발병에 비해 이 모델에서 타우 병리 발생을 가속화하고 동기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전임상 신경과학 CRO로서 당사는 또한 M83 트랜스제닉 마우스에 재조합 인간 α-신클레인 PFF를, 또는 야생형(B6-C3H) 마우스에 생쥐 α-신클레인을 정위적 접종하는 방식으로 파킨슨병의 α-신클레인 PFF 마우스 모델을제공합니다 .

신뉴클린 PFF 동물 모델 생성 일반적 개요.

신뉴클린 PFF 동물 모델 생성일반적 개요.

이러한 동물 모델은 타우 및 α-시누클레인 PFF 시딩 성공률이 거의 100%에 달할 정도로 재현성이 매우 높습니다. PFF 시딩 및 확산의 효능은 생체 내에서 다음과 같은다양한 결과 측정법을 통해 검증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PFF 유발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에 대한 당사의 특성 분석, 검증된 측정 방법 및 전임상 신경과학 CRO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신경퇴행성 질환의 트랜스제닉 모델에 비해 PFF 유도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바이오스펙티브는 모델 생성을 위해 후원사가 제공한 물질(예: 올리고머, 인간 뇌 추출물) 을 주입할수 있습니까 ?


생체 내 연구에있어 일측성 또는 양측성 정위적 PFF 주입 중어느 접근법이 선호되는가 ?


바이오스펙티브는 재조합 PFF 대신 인간 뇌 추출물/균질화물을 사용할수 있습니까 ?


PFF "씨앗"의 확산을 체외에서어떻게 모니터링할수 있을까 ?


PS19 마우스에서 타우 섬유 확산 모델이 진행되는 데 얼마나 걸리나요?


참고문헌


키워드


관련 콘텐츠

신경염증에 관한 최신 정보 및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치료제 평가와 관련된 모범 사례.

추가 정보

관심 있는 분야를 알려주세요. 저희 팀이 기꺼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이메일([email protected])로 문의하거나 아래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하세요. 

이름*
이메일*
문의 목적*
소속(회사/기관)*
메시지*

귀하의 개인정보는 당사에 중요합니다. 당사는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명시된 대로 귀하의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약관에 동의합니다.*

저희는 사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쿠키를 사용합니다. 또한, 사이트 사용 방식을 측정하거나 마케팅 목적으로 개선을 돕기 위해 다른 쿠키를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쿠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개인정보 처리방침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