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상 웹사이트임상 웹사이트

미세아교세포 노화 및 신경퇴행성 질환

이 자료는 미세아교세포 노화와 알츠하이머병(AD)과 파킨슨병(PD)을 포함한 신경퇴행성 질환에서의 그 역할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5년 3월 28일
저자: Alexa Brown, Ph.D. and Barry J. Bedell, M.D., Ph.D.

미세아교세포 노화란 무엇인가?

미세아교세포는 중추신경계(CNS) 내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세포 집단으로, 뇌의 상주 면역 세포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항상성 유지, 손상 및 감염에 대한 반응, 세포 파편 제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전체 뇌세포 수의 약 10-15%를 차지하는 미세아교세포는 신경염증 반응을 조율하고 수초화(myelination)와 같은 과정에 기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Greenwood, 2021; Malvaso, 2023). 또한, 미세아교세포는 면역 감시 및 시냅스 재형성에 관여합니다 (Ng, 2023).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세아교세포는 노화에 따라 노화를 겪으며, 정상적인 노화뿐만 아니라 신경퇴행성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장애의 기능적 변화로 이어진다고합니다(Ng, 2023).

미세아교세포 노화는 노화 관련 분비 표현형(SASP)의 획득을 수반하며, 돌이킬 수 없는 세포주기 정지를 특징으로 합니다 (Greenwood, 2021; Malvaso, 2023). 이 상태는 활성산소(ROS)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증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높은 수준의 철분과 페리틴 축적 등 몇 가지 주요 변화로 특징지어집니다. 그 결과, 노화한 미세아교세포는 분지형성 과정의 비정상적 변화, 비정상적 부종, 세포 괴사, 액포화 (Malvaso, 2023)와 같은 특징을 가진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미세아교세포 노화의 특징은 식세포 활동의 감소와 운동성 장애로, 이로 인해 노폐물을 제거하고 손상 부위로 이동하는 능력이 저하됩니다. 노화 관련 분비물 확산으로 인해 노화 미세아교세포의 축적이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노화 관련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하여 노화 미세아교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피드포워드 루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Chaib, 2022).

미세아교세포 노화의 정의는 그 특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정 표지자가 없기 때문에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노화 미세아교세포의 표현형은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영양장애 상태와 같은 다른 세포 상태와 겹칩니다 (Ng, 2023). 노화성 미세아교세포는 텔로미어 단축을 포함하여 질병 관련 미세아교세포(DAM)와 특성을 공유하며, 노화성 미세아교세포는 DAM의 별개의 하위 집합으로 간주됩니다 (Hu, 2021; Samuel Olajide, 2024).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노화와 관련된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미세아교세포 노화의 역할은 치료적 개입을 목표로 삼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

미세아교세포 노화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는 분지화 및 운동성이 감소하고, 부종과 세포파열이 증가하며, 세포질 분열과 액포화가 발생합니다. 또한, 철분 축적량이 증가하고, 페리틴 발현이 증가하며, 활성산소 생성이 증가하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더 많이 방출됩니다. 또한, 이물질과 독성 단백질을 제거하는 식세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됩니다. 그림과 캡션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라이선스 하에 Malvaso et al. (Malvaso, 2023) 에서 발췌했습니다.

미세아교세포의 노화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세계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단백질 병증을 포함한 노화와 관련된 신경 퇴행성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화는 아밀로이드-베타(Aβ), 타우, 43kDa 트랜스액티브 리스폰스 DNA 바인딩 단백질(TDP-43), α-시누클레인(α-synuclein)과 같은 잘못 접힌 단백질의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병증의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하기 위한 표적 치료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노화성 미세아교세포는 정상적인 노화와 신경퇴행성 질환 모두에서 뇌와 척수에 축적되기 때문에 잠재적인 치료 개입의 주요 표적이 되었습니다. 노화성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설계된 노화세포 제거제는 노화와 염증의 영향을 완화하거나 역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약물은 전임상 연구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으며, 현재 신경퇴행성 질환을 포함한 노화 관련 질환 치료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초기 임상 시험에서 시험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AD)
알츠하이머병은 주로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장애, 행동 및 기분 변화로 이어지는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기전에서 Aβ 플라크와 과인산화 타우 신경원 섬유 엉킴의 축적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징적인 증상 외에도, 소교세포가 질병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 병증의 질병 진행에 대한 제안된 메커니즘은 노화, 질병, 잘못 접힌 단백질, 그리고 노화한 미세아교세포 사이의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를 포함합니다 (Lau, 2023). 이 반복 과정에서 노화는 오류 단백질의 축적을 촉진하는데, 이 과정은 특히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질병에서 가속화됩니다. 오류 단백질의 축적은 차례로 미세아교세포의 노화를 유발하고, 이는 오류 단백질의 축적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타우에 노출된 미세아교세포는 세포주기 정지, 타우 제거 장애, SASP (Karabag, 2023)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표현형을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는 알츠하이머병의 영향을 받는 뇌 영역에 축적되어, 파라크린 신호 전달을 통해 주변 미세아교세포의 노화를 유발합니다 (Lau, 2023). 이 과정은 신경독성 단백질의 축적, 신경 퇴행, 신경 염증을 강화하고, 노화된 미세아교세포의 식세포 기능이 감소함에 따라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합니다 (Lau, 2023; Miao, 2023).

파킨슨병(PD)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두 번째로 흔한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은 주로 근육 경직, 운동지연증, 휴식 떨림과 같은 운동 증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자주 간과되기는 하지만, 파킨슨병은 또한 무관심과 우울증과 같은 기분 및 정서 장애를 포함한 비운동 증상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흑질(SNc)의 도파민성 뉴런의 점진적인 소실과 알파-시누클레이트 응집체를 포함하는 루이 소체의 축적은 파킨슨병의 특징입니다. 미세아교세포가 파킨슨병의 진행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파킨슨병에서 노화 미세아교세포의 구체적인 역할은 알츠하이머병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Rim, 2024).

연구에 따르면, SNc를 포함한 노화 뇌에 미세아교세포가 축적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Shaerzadeh, 2020). 또한, 노령 생쥐는 선조체 내 알파-시누신 주사 후 젊은 생쥐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알파-시누신을 나타냅니다 (Hong, 2024). Α-syn의 증가는 노화와 관련된 제거 지연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는데, 이는 자가포식-리소좀 시스템의 기능 장애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Hong, 2024). 또한, SNc와 같은 PD의 영향을 받는 부위에서 철분 축적이 관찰되었으며, 과도한 철분 노출은 질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ngelova, 2019).

결론적으로, AD와 PD는 뚜렷한 병리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미세아교세포의 기능 장애라는 몇 가지 공통된 기저 메커니즘을 공유합니다. 두 질병 모두에서 미세아교세포는 염증을 촉진하고 신경독성 단백질의 제거를 방해함으로써 질병의 진행에 기여합니다.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미세아교세포 노화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남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화세포 제거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이러한 노화 관련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신경 퇴행성 질환의 노화성 미세아교세포

단백질 병증의 질병 진행 메커니즘에 대한 제안된 개요. 오류 단백질 응집체의 축적은 노화와 함께 발생하며, 질병 상태에서 악화됩니다. 이러한 단백질은 미세아교세포와 상호 작용하여 미세아교세포 노화를 유도하고, 이는 신경독성 단백질의 축적을 더욱 강화하고, 신경퇴행과 질병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긍정적인 피드백 고리를 형성합니다. 그림과 캡션은 Samuel Olajide 외 (Samuel Olajide, 2024)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되었습니다.

미세아교세포 노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현재 모델과 표지는 무엇입니까?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미세아교세포 노화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표적 치료 전략의 개발이 더욱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의 발전은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를 검출하는 정확한 방법의 부족으로 인해, 특히 생체 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를 식별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표지자를 확인하는 것은 이러한 치료 노력을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미세아교세포 노화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는 노화 관련 베타-갈락토시다아제(SA-β-gal) 활성으로, 여전히 주요 지표로 남아 있습니다. 또한,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 억제제인 p21(WAF1/CIP1이라고도 함)과 p16INK4a는 노화의 특징인 세포주기 정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마커로 자주 사용됩니다. 동물 모델은p16luc(루시퍼라제 리포터 모델 ), p16 결손, 그리고 미세아교세포 특이적 p16 결손 마우스와 같은 모델을 포함하여 미세아교세포 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미세아교세포 노화에 있어서 p16INK4a의 역할과 노화와 관련된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기여도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페리틴 축적은 노화성 소교세포에서도 관찰되었지만, 그 역할은 다른 표지자만큼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리포푸신의 염색제인 수단 블랙 B가 SA-β-갈의 잠재적 대안으로 부상했습니다 (Ng, 2023). 마이크로글리아와 같은 노화 세포에 축적되는 리포푸신은 수단 블랙 B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아직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노화 마이크로글리아를 식별하는 데 유망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TNF-α, IL-6, IL-1β와 같은 SASP 사이토카인의 발현은 노화 세포의 또 다른 특징입니다.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노화성 미세아교세포에 의해 분비되며,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염증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표지자와 미세아교세포의 노화를 연결시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확실한 단일 표지자는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현재 노화성 미세아교세포를 식별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표지자를 결합하는 다중 표지자 접근법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p16INK4a와 같은 표지자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이 표지자는 특히 미세아교세포 노화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특히 백질에 있는 미세아교세포는 노화 과정에서 중추신경계에서 가장 먼저 노화를 겪는 세포 중 하나입니다 (Matsudaira, 2023). 이 연구들은 미세아교세포의 노화가 뇌와 척수 모두에서 발생하며, 특히 DAM에서 노화가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Matsudaira, 2023). MAPT P301S(PS19) 마우스와 같은 타우병 모델에서 p16INK4a를 발현하는 노화 미세아교세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ussian, 2018). 이러한 노화 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것은 치료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노화성 미세아교세포의 제거는 타우 단백질의 응집과 신경섬유 엉킴의 침착을 방지하고, 신경 퇴화를 감소시키며, 인지 기능의 보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세놀리틱스의 사용은 타우 단백질의 응집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타우병 치료를 위한 치료적 접근법으로 노화성 미세아교세포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강조하고, 미세아교세포의 노화와 신경 퇴행성 질환의 진행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Bussian, 2018).

노화성 소교세포를 식별하고 표적화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연구자들은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적 개입의 길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지자와 모델의 지속적인 사용은 소교세포 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노화와 관련된 신경학적 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저희 팀은 미세아교세포 노화 및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질문에 답하거나 치료 효능 연구에 사용하는 AD 및 PD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꺼이 제공해 드릴 것입니다.

신경 퇴행성 질환 모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자주 묻는 질문

정상적인 노화와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미세아교세포의 노화에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미세아교세포의 노화는 어떤 다른 질병이나 상태에 영향을 미치나요?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습니까?


노화 상태와 영양 장애 상태의 미세 아교세포를 구분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참고문헌


키워드


관련 콘텐츠

미세아교세포 노화 및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최신 정보와 신경 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치료제의 평가와 관련된 모범 사례입니다.

추가 정보

관심 있는 분야를 알려 주세요. 저희 팀이 기꺼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이메일([email protected])로 문의하거나 아래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하세요.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소속(회사/대학)*
메시지*

귀하의 개인정보는 당사에 중요합니다. 당사는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명시된 대로 귀하의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약관에 동의합니다.*

저희는 사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쿠키를 사용합니다. 또한, 사이트 사용 방식을 측정하거나 마케팅 목적으로 개선을 돕기 위해 다른 쿠키를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쿠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개인정보 처리방침 참조하십시오.